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청정도량 영원사

본문 바로가기

최신글

영원사 청정도량

마음의 불심을 닦는 이곳 영원사입니다.

view more

영원사 청정도량

마음의 불심을 닦는 이곳 영원사입니다.

view more

영원사 청정도량

마음의 불심을 닦는 이곳 영원사입니다.

view more

청정도량 영원사
부처님의자비와 깨달음.

본 영원사는 1600여년이라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한국불교 태고종 충남교구에 소속되어 있는 태고종단의
사암으로서 불교의 현대화 및 생활화를 위한 첨병에서 그 사명을 다하고자 정진노력하고 있습니다.

company03
영원사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태고종, 2024 새 사미 사미니 38명 배출
본문내용

전계아사리 총무원장 상진 스님이 구족계를 설파하고 있다.
 

한국불교태고종 제49기 합동득도 수계산림 수계식이 10월 21일 오전 10시 30분 태고총림 선암사 중앙금강계단에서 봉행됐다.

이번 49기 합동득도 수계산림에서 태고종은 사미 30명 사미니 8명 모두 38명의 새 승려를 배출했다.

 
제49기 합동득도 수계산림에서 3사7증이 자리하고 있는 모습.
 

이날 수계식은 총무원장 상진 스님이 전계아사리를, 중앙종회의장 법담 스님이 교수아사리를, 호법원장 혜일 스님이 갈마아사리를 맡았으며, 7증사로는 교육원장 재홍 스님, 총무원 행정부원장 능해 스님, 한국불교문예원장 지허 스님, 중앙선거관리위원장 구산 스님, 초심원장 금담 스님, 경기북부교구 종무원장 경월 스님, 해외교구 종무원장 종매 스님이 자리했다.

수계식에서 교육우수자 표창으로 총무원장상은 성문 스님과 원각 스님이, 정수원장상은 혜암, 도우, 정우, 혜명 스님이 각각 수상했다.

타종 10추를 신호로 무우전으로부터 3사7증의 종사이운이 실시돼 대웅전 앞마당에서 진행된 수계산림은 삼귀의와 반야심경,, 선조사 스님에 대한 묵념과 내빈소개에 이어 수계산림 경과보고, 시상식 등의 순서로 이어졌다. 수계의식은 자미계 정범에 따라 총무원 교무부장 정안 스님의 인례와 선암사 총무국장 승종 스님이 유나를 맡아 진행됐다.

전계아사리 총무원장 상진 스님은 혜수 행자를 대표로 체발의식을 실시했다.

 
전계아사리인 총무원장 상진 스님이 행자대표를 상대로 체발의식을 하고 있다.
 

 
총무원 행정부원장 능해 스님과 교육원장 재홍 스님 등 7증사가 사미 사미니를 대상으로 연비하고 있다.
 
 
연비를 마친 사미 사미니가 가사봉대 후 가사를 수하고 있다.
 

이어진 수계의식에서 행자들은 연비의식을 갖고 정식 사미 사미니 자격을 얻게 되자 한국불교태고종 전통 홍가사를 봉대하고 수지했다.

이날 수계를 받은 38명의 사미ㆍ사미니는 지난 9월 20일 행자교육기관인 선암사 정수원(원장 승범 스님, 선암사 주지)에 입소해 10월 20일까지 한 달 간 승려로서 갖춰야 할 기초습의를 비롯해 초발심자경문, 불교교리, 예불 및 불교의식 습의, 종지·종풍과 종단사 교육, 울력 등을 익혔다.

 
49기 합동득도 수계산림 수계자들이 전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글=김종만 기자ㆍ사진=일서 스님 총무원 홍보과장

태고종 전국 종무원 실무자 회의 개최
본문내용

한국불교태고종 전국 종무원 종무실무자 회의가 6월 29일 오후 1시 한국불교전통문화전승관 1층 대회의실에서 거행되고 있다.


한국불교태고종 총무원(총무원장 호명 스님)은 전국 종무원 종무실무자 회의를 6월 29일 오후 1시 한국불교전통문화전승관 1층 대회의실에서 갖고 승려 및 사찰분한신고 마감에 따른 행정집행 안내 등 현안 종무행정에 대한 협조를 당부했다.

이 자리에서 총무원장 호명 스님은 격려사를 통해 “코로나19의 엄중한 상황임에도 회의를 소집하게 됐고 바쁘신 와중에도 기꺼이 참석해 주신 데 감사드린다”며 “그만큼 오늘 회의 안건이 매우 중요함을 함께 인식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호명 스님은 “한국불교종단협의회에서 우리 종단이 서열 5위에 자리하고 있는 것을 보며 큰 아쉬움을 느끼고 있다"면서 “승려수와 사찰 수와 신도 등 교세로 우리가 단연 앞서고 있는데 이를 대외적으로도 확인하고 증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호명 스님은 또한 “종도들이 소속감을 높이고, 종단사업에 대한 관심과 동참으로 종단발전에 기여하는 데 있어서 태고종 전용 앱의 개발이 필요했다”고 소개하고 “이 앱을 최근 개발했다. 전국 태고종도 구성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여러분의 역할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어 총무부장 도성 스님은 6월 30일로 분한신고가 완료됨에 따른 행정집행의 불가피성을 설명한 후 진행을 총무국장 정각 스님에게 넘겼다.

총무국장 정각 스님은 <승려(사찰)분한 미신고자 처리에 관한 규정>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승려분한미신고자에 대한 규제로 정적이 될 경우 △일체의 종무직 취임 불가 △선거권과 피선거권 상실 △종단 교육기관 입학 불허 및 재학중일 경우 즉시 퇴소 △일체 제증명 발급 불허 등을 고지했다. 아울러 분한 미신고 사찰에 대해서도 △사찰 등록 취소 및 주지 임명장 회수 △고유번호증 폐쇄하고 개인명의로 변경 발급받도록 관할 세무서에 통보 △각종 기관 및 행사에 종단명 사용 금지 등의 불이익이 주어짐을 알렸다.

2021년 7월 1일부로 수수료 항목의 일부 변경 사항도 고지했다. 이는 과거 종무원의 형편을 배려해 총무원대 종무원 간 6대4로 배분한 수수료를 <수수료 규정>에 명시한 대로 7대3으로 회귀시킨 것이다. 승려 및 전법사의 입적, 주지 및 교임 (재)임명, 신분증 재발급 등일부 수수료에서 이 요율이 적용된다.

총무원은 또 새로이 개발된 태고종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해서도 관계자를 통해 설명회를 가졌다. 태고종 앱은 종단에 속한 모든 사암과 신도가 한 곳에서 커뮤니케이션(소통)할 수 있는 사이버 공간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업에 대한 협조도 당부했다. 총무원은 장례서비스전문업체 더리본과 6월 14일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2009년 설립된 더리본은 전국 30개 본부와 200여개 직영지점을 보유하고 있는 상조전문회사다.

-김종만 기자

출처 : 한국불교신문(
http://www.kbulgyonews.com)

 

전국 종무원장협의회 회의 봉행
본문내용

전국 시도교구종무원장협의회 회의가 지난 6월 14일 오후 1시 한국불교전통문화전승관 1층 대회의실에서 재적의원 29명 중 23명이 참석한 가운데 봉행되고 있다. 


한국불교태고종 전국 시도교구종무원장협의회(의장 법경 스님, 본산급 사찰 포함, 이하 종무협)와 총무원(총무원장 호명 스님)은 전북교구종무원(종무원장 진성 스님)의 제안에 따른 전북특별교구 문제를 긴밀한 협조로 원만히 해결하기로 했다. 단, 양측이 원만히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 총무원의 기본 입장임을 천명했다.

종무협은 이와 함께 총무원의 종무행정이 보다 원만하고 성숙된 분위기 속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총무원 각 부·실장 및 국장단과 일반 종무원들의 근무 환경과 근무 자세를 개선해 더욱 친절하고 화합하는 종단으로 이끌어주길 총무원에 건의했다.

종무협은 지난 6월 14일 오후 1시 한국불교전통문화전승관 1층 대회의실에서 재적의원(본산급 사찰 주지 포함) 29명 중 23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1년도 2차 종무협을 열고 이같이 토의했다.

지허 사무총장 사회로 열린 이날 종무협은 또 전국신도회 조직의 필요성에 동의하고 6월 30일(수도권, 지방은 7월 30일)까지 각 종무원마다 10명 이상의 신도를 전국신도회에 추천, 보고하기로 결의했다. 종무협은 또 총무원 문화사업단의 업무보고를 받고 현재 문화사업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태고종 어플리케이션 사업 가운데 국민은행에 각 사찰별로 계좌를 개설해 온라인 불전함과 쇼핑몰을 이용한 뒤 이익금을 해당 사찰 주지 스님들에게 돌아가게 함으로써 사찰 운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게 하는 한편, 이날 총무원과 MOU를 맺은 태고종 상조사업단을 적극 이용토록해 사찰 재정에 도움이 되게 하자는데 의견을 모았다.

이날 종무협에는 의장 법경 스님을 비롯해, 총무원장 호명 스님, 중앙종회 의장 법담 스님, 호법원장 혜일 스님 등 중앙삼원장과 총무부장 도성 스님 등 총무원 각 부장단 및 국장단이 참석했다.

이에 앞서 종무협 의장 법경 스님은 인사말을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오랜만에 모이게 됐다”면서 “종무협과 총무원이 허심탄회한 토론을 통해 우리 종단이 더욱 발전하고 화합하는 길을 모색해나가자”고 말했다.

총무원장 호명 스님도 인사말을 통해 “최근 총무원에서 본의 아니게 일어난 일에 대해 총무원장으로서 종무원장님들께 사과드린다”면서 “잘못 알려진 부분에 대해서는 종무원장님들이 바로 아셔서 앞으로 총무원 종무행정이 더욱 원활히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조해 줄”것을 당부했다.

-주필 승한


출처 : 한국불교신문(
http://www.kbulgyonews.com) 

한국불교태고종 종정 지허 대종사 신축년 하안거 결제법어
본문내용


(법상에 올라 주장자를 높이 들어 보인 뒤)
오늘 여기 모이신 대중은 물론 일체 중생이 모두 다함없는 무진억겁에 영구불변한 대적광명지(大寂光明智)를 갖추었는데, 스스로 지닌 이 본성을 아는가 모르는가.

(잠시 뒤 할을 한 번 하고)
이 몸이 바로 대적광명지의 깃발이요, 이 마음이 신통을 담은 궁궐인 즉, 작은 촛불 하나에 팔만사천 지옥을 태우고 용의 입속에 여의주 빼내어 가지고 놀 줄을 왜 모르는가.

(게송하다)

“曺溪峰出有無間(조계봉출유무간)
巍巍落落絶往來(외외낙낙절왕래)
雲裡木人添一角(운리목인첨일각)
三更石女聲淚哀(삼경석녀성누애)”
나무아미타불

“조계 봉우리가 있고 없는 사이에 나왔으니 높고 높아 오가는 것 끊어졌네. 구름 속 나무 사람 뿔 하나 더하더니 밤중에 돌여자 슬픈 눈물 소리 나네.”

본분납자(本分衲子)에게 결제나 해제가 분별이 있을 리 없지만 하안거 결제라 하니 회상(回上)에 있거나 선원에 있거나 어디서든 자기 분상에서 본분화두가 순일(純一)한지 스스로 점검하고 정진일로를 갈 뿐이다.

옛 조사 스님이 말씀하시기를 ‘물이 많으면 배가 높이 뜨고 진흙이 많으면 부처가 크다’ 했고, 유마경에 ‘높은 언덕에는 연꽃이 살지 않고 낮은 습지의 탁한 연못에 연꽃이 산다’ 하였다. 자기 고행 속에 공부가 깊어지면 자연스럽게 도(道)가 높아지고 덕망이 두터워질 것이나 오탁악세의 사바세계에서 순일하게 도가 이루어질 리 만무하니 망상과 수면과 몽롱함을 한칼에 베어내 다시 살지 못하게 하고 나면 본분화두가 자연히 청정하게 이루어져서 구름 한 점 없는 푸른 하늘에 오직 태양 하나가 빛날 뿐이다. 이를 사바즉적광(娑婆即寂光)이라 하니 더러운 것이 가득한 사바세계가 그대로 법신의 땅인 상적광토(常寂光土)가 된다는 것이다.

태고 조사께서는 13세에 일찍 출가하시어 강원을 나와 선원에서 참구하였으나 때때로 경전을 탐색하였고 심오한 데에 이르러서 이 또한 토끼 잡는 그물이고 고기 잡는 통발이라 판단하고 대장부의 목표는 아니라 하였다. 그리고 대장부로서 큰 원을 세우고 관음기도를 한 후 만법귀일 일귀하처(萬法歸一 一歸何處)의 화두에 전념하였다. 스스로에게 조금이라도 게으른 마음이 생기고 기질이 약하여 큰 일을 할 수 없다면 차라리 정진고행하다 죽은 후 몸을 바꾸어서라도 반드시 이루어내고야 말겠다는 각오로 용맹정진 후 4년 만에 확철대오하여 8구의 오도송을 다음과 같이 읊으셨다.

“一亦不得處(일역부득처)
踏破家中石(답파가중석)
回看沒破跡(회간몰파적)
看者亦己寂(간자역기적)”
나무아미타불

“了了圓陀陀(요요원타타)
玄玄光爍爍(현현광삭삭)
佛祖輿山河(불조여산하)
無口悉呑卻(무구실탄각)”
나무 아미타불

“하나도 얻을 곳 아닌데 집안 돌 밟아 깨버렸네. 돌아보니 깨진 자국마저 없고 돌아본 것까지 더욱 고요하구나.”

“모두 허물어져서 두루 명백하고 깊고 깊은 그 이치, 그 빛이 찬란하니 부처와 조사와 더불어 산과 강을 입 없이 모두 삼켜버렸네.”

(하좌하다)

불기 2565(2021). 5. 26.

한국불교태고종 종정 지허 합장

출처 : 한국불교신문(
http://www.kbulgyonews.com) 


 

종단소식 더보기

영원사 소개
법회 안내

  • 보름법회

    보름달빛은 그 빛이 한량없어 삼계에 두루 미치듯이 밝음과 지혜를 상징...

  • 천도재

    천도재(천도제)란 의 사람이 죽어 그 영혼이 내생의 좋은 곳에 다시 태어나도록...

  • 49재

    7일마다 재를 7번 지내며 마지막 재를 올리는 날이 49일째...

  • 생전예수재

    살아 생전 다음생에 받을 과보에 대해 미리 재를 지내는 의식으로 일명 생재(生齊)라 한다.

종단소식
태고종단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회원로그인

Contact Us

Tel. 1234-1234

평일 09:00 - 18:00 (주말/공휴일 휴무)


그누보드5
  • 주지스님 : 청공법훈

  • 주소 : 충남 아산시 충무로681번길91

  • Copyright © 영원사 All rights reserved.

Contact Us

041-542-5761